안녕하세요 세모팁입니다
오늘 알아볼 맞춤법은 '되'와 '돼'입니다
안과 않처럼 헷갈리기 쉬운데요
안과 않의 구분을 못 보신 분은 아래 링크를 눌러주세요
↓↓↓↓↓↓↓↓↓↓↓↓↓↓↓↓↓↓↓↓↓↓↓↓↓↓↓
https://semo-tips-review.tistory.com/36
[맞춤법] 안 않 차이와 맞는 표현은?
안녕하세요 세모팁입니다 이번에 알아볼 한글 맞춤법은 안 않입니다 갑자기 숙연해지는 카톡인데요 주변에서도 안 않 틀리는 사람이 꽤 있더라고요 오늘은 안 않 차이점을 함께 알아보겠습니
semo-tips-review.tistory.com
되와 돼에 대해서도 알아보겠습니다
국립국어원에서는 다음과 같이 '되'와 '돼'를 차이법과 사용법을 설명하고 있습니다
'되다'의 어간 '되-'에 '-어/-었-/-어서' 등이 붙어 활용할 때는 '되-'와 '-어'를 축약하여 '돼'로 적고(돼/됐다/돼서), 자음 어미가 붙어 활용할 때는 축약되지 않으므로 '되-'로 적습니다(되고/되니/되면). 쉽게 일반적으로 '되/돼'가 들어갈 자리에 '하/해'를 넣어 보아 말이 되는지를 보고 구분하는 방법이 있겠습니다.
요약해보자면 기본형인 '되다'의 어간 '에/-어/-었-/-어서' 등이 붙어 활용될 때는 '되'와 '어'를 축약하여 '돼'로 적는다는 것입니다
즉, '돼'는 '되어'의 준말인거죠! 예를 들면 다음과 같습니다
나는 선생님이 '되었다' = 나는 선생님이 '됐다'
설명만 보고는 솔직히 어렵죠?
그래서 쉽게 구분하는 방법 2가지를 알려드리겠습니다
1. 되/돼가 들어가는 자리에 하/해 넣어보기
'되' → '하'
'돼' → '해'
위와 같이 바꾸면 쉽게 구분이 가능합니다
예시를 들어볼까요?
- 유학을 가게 (되/돼)다 → 유학을 가게 (하/해)다
문장을 읽어보면 해다보다는 하다가 더 자연스러운게 느껴지실 겁니다
그래서 유학을 가게 돼다가 아닌 유학을 가게 되다인 것입니다
- 나 저거 해야(되/돼) → 나 저거 해야(하/해)
눈이나 입으로 문장을 보면 '해'가 더 자연스럽기 때문에
나 저거 해야되가 아닌 해야돼가 맞습니다
2. 되/돼가 들어가는 자리에 '되어' 넣어보기
'되'와 '돼' 중 어느 것을 써야하는 지 헷갈린다면 '되어'를 넣어보면 쉽게 찾을 수 있습니다
'되'가 들어갈 자리에 '되어'가 들어가면 말이 되지 않고 '돼'가 들어갈 자리에 '되어'가 들어가면 자연스럽습니다
예를 들자면 다음과 같습니다
돼라’, ‘’돼서’, ‘됐다’의 ‘돼’ → ‘되어’로 바꿈 → ‘되어라’, ‘되어서’, ‘되었다’
'돼'를 되어로 바꾸어도 그 뜻이 바뀌지 않습니다. 따라서 이 말들은 ‘돼’를 쓰는 게 맞습니다.
하지만 ‘되니’, ‘되고’, ‘되라고’, ‘될까’ → ‘되’ 자리에 ‘되어’를 넣음 → ‘되어니’, ‘되어고’, ‘되어라고’, ‘되얼까’
누가봐도 이상한 말이 되는 걸 볼 수 있습니다. 이런 경우에는 ‘되어’의 준말인 ‘돼’를 쓸 수 없습니다.
주의점
동사나 형용사는 반드시 어간+어미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되'는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문장 끝에 사용할 수 없습니다 단독으로 사용 혹은 문장 끝에서는 무조건 '되어'의 줄임말인 '돼'라는 것 알아두세요!
★총정리★
돼 = 되어
'되어'의 축약형이 '돼'
<구분 방법>
1) '되' → '하','돼' → '해'로 바꿔보기
2) 되/돼가 들어가는 자리에 '되어' 넣어보기
<주의점>
단독으로 사용하거나 문장 끝에서는 무조건 '돼'만 사용 가능
아래 예시를 통해 살펴볼까요?
- 펜 좀 써도 돼?
- 일은 잘 되어가니? / 일은 잘 돼가니?
- 이 과제 자정까지 해야돼
- 제가 먼저 해봐도 되나요?
- 맞는지 아닌지 구분이 쉽게 돼요
오늘은 되 돼의 차이점 올바른 한글 맞춤법 함께 배워보았습니다
이번 포스팅으로 헷갈리는 맞춤법 확실하게 알아가셨으면 좋겠습니다
그리고 평소에 자주 헷갈리는 표현 있으면 댓글로 남겨주세요
또 다른 맞춤법을 들고 찾아오겠습니다 감사합니다
'[국어] 맞춤법' 카테고리의 다른 글
[맞춤법] 깨뜨리다 깨트리다 이제 더이상 헷갈리지 않을거에요 (8) | 2022.01.21 |
---|---|
[맞춤법] 받아들이다 vs 받아드리다 차이 구분법 (9) | 2022.01.20 |
[맞춤법] 안 않 차이와 맞는 표현은? (10) | 2022.01.17 |
[맞춤법] 부딪치다 부딪히다 차이 맞춤법 구분 (11) | 2022.01.16 |
[맞춤법] 졸이다 조리다 차이점과 올바른 맞춤법은? (13) | 2022.01.15 |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