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국어] 맞춤법43

[맞춤법] 일일이 일일히 맞는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지식과 꿀팁을 전해드리는 세모팁입니다 이번에도 자주 헷갈리는 맞춤법을 들고 왔습니다 바로 일일이 일일히 입니다 그럼 다음 예시를 보고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지 알아볼까요? 예시) A: 별님아 좀 도와줄 수 있니? B: 뭔데? A: 이 엑셀 시트 안에서 '케이크'라는 단어를 찾고 싶은데 어디 있는지 모르겠어 B: 응? 설마 눈으로 (일일이 / 일일히) 보고 있던 거야? 이거 컨트롤이랑 에프 누르면 검색할 수 있어 A: 엄청 간단하네 나 인생 헛살았나 봐 간단한 단축키를 몰라 고생한 B. 일일이와 일일히 중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을 말씀드리자면 ‘일일이’가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일일이'는 ‘일일이’는 "일마다 모두"라는 뜻으로 ‘일일이 트집을 잡다', “하나씩 하나씩/한 사.. 2021. 12. 26.
[맞춤법] 설램 설렘 설레임 맞는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오늘은 설렘과 설레임 맞춤법을 들고왔습니다 그럼 다음 예시를 보고 어느 것이 맞는 표현인지 알아볼까요? 예시) A: 별님아 아이스크림 먹을래? B: 좋지! 무슨 맛이야? A: 민트초코맛으로 담아왔어 B: 네가 뭘 좀 아는구나! 난 처음 민트초코를 먹었을 때 (설램 / 설렘 / 설레임)을 아직도 잊을 수가 없어 민초파인 별님이는 민트초코를 처음 맛 봤을 때를 잊을 수 없다는데요 설램 설렘 설레임 이 셋 중에 무엇이 맞는 표현일까요? 정답을 말씀드리자면 ‘설렘’이 올바른 표기법입니다 설레임이라는 유명한 아이스크림이 있어 많이 헷갈리는 표현 중에 하나입니다 아이스크림 설레임은 해당상품의 고유명사로 맞춤법과는 무관하답니다 하지만 실생활에서는 맞는 표현을 써야겠죠?^^ '설렘' 마음이 가라앉지 아니하고.. 2021. 12. 25.
[맞춤법] 재작년 제작년 차이점 맞는 말은? 안녕하세요 세상의 모든 지식과 꿀팁을 전해드리는 세모팁입니다 이번에는 헷갈리는 맞춤법을 들고 왔습니다 바로 재작년 제작년입니다 저도 헷갈려서 종종 찾아보는 맞춤법입니다 그럼 같이 예시를 볼까요? 예시) A: 이거 봐 우리 작년에 제주도 갔던 사진이야 B: 오랜만이네 저 때 정말 좋았는데 또 가고 싶다 A: 우리 (재작년 / 제작년)에는 어디 갔었지? B: 아마도 제주도였을 걸? 우리 매년마다 제주도 가네 이 상황에 어울리는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정답을 말씀드리자면 재작년 입니다 그러면 재작년의 뜻을 알아볼까요? ‘재작년’은 다시 재(再)’자를 씁니다. 따라서 지난해의 바로 전 해라는 뜻입니다 '제작년'은 재작년의 잘못된 표현입니다 아마도 발음이 비슷해서 헷갈리는 듯합니다 아래 예시를 보면 더 이해가 쉬울.. 2021. 12. 24.
[맞춤법] 희안하다 희한하다 맞는 맞춤법은? 안녕하세요 이번에는 헷갈리는 맞춤법을 들고 왔습니다 바로 희안하다 희한하다입니다 개인적으로 저도 잘못 쓰고 있던 맞춤법입니다 알고 나서 얼마나 충격이었는지 몰라요 그럼 예시를 한번 볼까요? 예시) A: 이상하다 혹시 여기 있던 펜 못 봤어? B: 응 못 봤어. A: 그래? 정말 (희안하다 / 희한하다). 분명히 여기다가 뒀는데 어디 갔지? 다들 예시와 같은 경험 한번쯤 있죠? 이 상황에 어울리는 맞춤법은 무엇일까요? 정답을 말씀드리자면 희한하다 입니다 저도 이 맞춤법을 알고 나서 지금까지 잘못 쓰고 있었다는 거에 충격을 받았답니다 그러면 희한하다의 뜻을 알아볼까요? ‘희한하다’ 한자로는 드물 희稀, 드물 한罕, 매우 드물거나 신기하다는 뜻입니다 드물다는 의미의 한자가 두 번 쓰인 말입니다 '희안하다'는 .. 2021. 12. 23.
반응형